가자지구는 그리 멀지 않다: 팔레스타인인과 한국인의 연대


Sima Zayed(시마 자예드)

Sima Zayed is a Palestinian living in Seoul. She holds a master’s degree in Asian Women’s Studie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Since the start of the genocide in Gaza, she has been actively involved in Palestinian solidarity movements in South Korea, participating in demonstrations, lectures, and community initiatives that seek to build connections and solidarity between Koreans and Palestinians.

서울에 사는 팔레스타인인. 이화여대에서 아시아여성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가자지구 집단학살이 시작된 이후, 한국의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한국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연결과 연대를 구축하는 시위, 강연, 공동체 행동에 참여하고 있다.

※ 본 기고문은 영문 원문한국어 번역문을 함께 제공합니다. This article is presented in both English and Korean.

It is October yet again. My phone screen still glows with the same unbearable sight of Gaza burning, families torn apart, children reduced to limbs. I sit in my small apartment in Seoul, thousands of kilometers away, yet every explosion feels like it shatters something inside me. How can the world watch this annihilation unfold in real time and still speak of it in cautious diplomatic terms, as if genocide becomes more palatable when filtered through the language of geopolitics?

I come from the city of Ramallah, where I witnessed checkpoints divide neighborhoods like scars while Israeli occupation soldiers stood as reminders that we are never truly free. Occupation was the landscape of my entire life: rifles pointed at Palestinian civilians, random raids at night, funerals that became daily routines. Yet I loved my homeland as fiercely as I hated its circumstances. My people lived with relentless loss but still planted gardens, raised children, and laughed.

Leaving Palestine was my attempt to seek a life beyond checkpoints and permits, and that’s what brought me to Korea, a place I once thought too distant to hold any part of my story. But I soon learned that Palestine does not leave you when you leave Palestine.

As the genocide in Gaza enters its second year, I find myself reflecting on the strange duality of grief and awakening. It took the live-streamed destruction of an entire people for the world to finally look toward Palestine with sustained attention. We have witnessed the world’s hypocrisy laid bare: leaders who claim to defend human rights remain silent while children die beneath rubble.

Yet, I never imagined I would see Palestinian flags raised in Seoul. South Korea does not recognize Palestine as a state and maintains close ties with Israel; ties shaped by U.S. politics and religious influence. For years, I worked to make Palestine visible here, speaking in classrooms and community spaces, often confronting complete unfamiliarity or understanding filtered entirely through Western narratives that reduce us to perpetual victims or threats. I was slowly losing hope that meaningful solidarity could exist in a place where Palestine seemed so distant, so abstract.

But when the genocide began, something shifted. To my surprise, sustained and serious action for Palestine emerged in South Korean streets, just as it did around the world. I watched Korean activists and students organize demonstrations in Seoul, walking beside Palestinians and immigrants from around the world, refusing to stay silent while the world offered only diplomatic language to describe what is clearly genocide. I stood among crowds in Gwanghwamun chanting “Free Palestine” and felt something fundamental shift. This was not performative activism or empty gestures. These were people stretching beyond their immediate concerns to connect with suffering that did not directly touch their lives, people who understood that justice cannot be selective.

Speaking with Korean activists, most of whom are now my friends, I began to understand the depth of these connections. They drew parallels between Palestine and their own history: Japanese colonization that tried to erase Korean identity, national division imposed by foreign powers, and the unhealed longing for reunification. For Palestinians in Korea, these connections offered profound comfort. Our histories, though geographically distant, spoke to each other. Both peoples have been shaped by occupation, displacement, and the yearning to be whole again.

Korea and Palestine share more than the pain of colonization; we share the experience of having our lands divided and our identities questioned. Both peoples have lived through erasure: maps redrawn, languages suppressed, memories threatened with disappearance. Both exist under the shadow of foreign powers whose military and political interests dictate our futures. The U.S. military presence that shaped modern Korea also sustains Israel’s domination of Palestine. These connections reveal that our struggles are not separate but bound within global systems of militarism and imperialism.

Yet explaining Palestine in Korea remains challenging. Some people express sympathy but hesitate to act, fearing social or professional repercussions. Others insist on ‘neutrality,’ not realizing that neutrality in the face of oppression is itself a political stance. It is difficult to make people understand why this is not a ‘conflict’ between equals but a colonial project with clear perpetrators and victims, and why neutrality in the face of such asymmetric violence is itself a form of violence.

Still, within those challenges, we, Palestinians, found real solidarity. When Koreans demanded peace and reunification, they reflected our call for liberation. When we insisted on the right to return, we affirmed the same human desire Koreans hold: to live freely in a homeland unbroken by borders. Our struggles then teach the same truth; that freedom cannot be fragmented, that none of us are free until all of us are.

For me, the most moving moments were standing among Koreans who screamed for Gaza’s children, who learned the names of our destroyed neighborhoods and mourned our losses, who saw our grief as something worth carrying with us. Their compassion was not charity; it was recognition. It was the understanding that what happens in Gaza is not far away but a test of our shared humanity.

As I write this, news of potential ceasefires and peace agreements circulates, and I sincerely hope my people in Gaza can wake up to peaceful days. Yet recently, I spoke with my sister who still lives in Ramallah, asking whether these reports I was reading held the truth. She told me something that left me hollow, though not surprised, and that is we can no longer enter our parents’ village, Beit Iksa, the place still listed as my origin on my Palestinian identification card. It has been taken over by Israeli occupation forces. Now you need a special permit to visit the soil where your family lived and your ancestors are buried.

This is the nature of ongoing colonization. It does not happen all at once in some dramatic historical moment that gets remembered and mourned. It happens slowly, steadily, through the accumulation of permits and checkpoints and settlements, until one day you realize you cannot return to your place of origin anymore. What the world has watched for two years is not new, but a continuation of a century-long catastrophe that too few have dared to confront.

This is why I stress to everyone: an end to genocide is not the same as an end to nearly a century of occupation, colonization, and apartheid. A ceasefire, while desperately needed, is only the first step. What we need is fundamental decolonization. Solidarity for Palestine must continue, not just until the bombing stops, but until there are no checkpoints in Palestine, until colonial settlers leave, until Palestinians can return to their homes, until Palestine is truly, entirely free, from the Jordan River to the Mediterranean Sea.

To Koreans: your voices matter more than you think. Your own history gives you a unique capacity to understand ours. You know what it means to have your freedom denied, your nation divided, your pain politicized by others. When you stand with Palestine, you speak not as distant observers but as people who recognize the pattern of oppression and refuse to accept it.

Solidarity is not an act of generosity; it is a shared responsibility. When you speak for Gaza, you speak for justice as a universal principle, for the belief that every life has equal worth. It is not enough to feel empathy, we must act, learn, and challenge the systems that sustain this violence.

Gaza is not really that far away. It lives in the moral choices we make every day: in what we are willing to see, in what we refuse to forget, in whether we believe that justice must apply equally to all or to none at all. To stand with Palestine is to stand with life itself, with the idea that no people should be condemned to live and die under occupation.

And perhaps, in this shared understanding between Koreans and Palestinians, we can glimpse a future where solidarity is not born from tragedy but from the simple, steadfast belief that freedom belongs to everyone.

또 다시 10월이다. 휴대폰 화면에는 여전히 불타는 가자지구, 갈기갈기 찢긴 가족들, 팔다리만 남은 아이들의 모습이 펼쳐진다.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서울의 작은 집에 앉아있지만, 폭발이 터질 때마다 내 안의 무언가가 부서지는 것만 같다. 어떻게 세상은 이 참혹한 학살을 실시간으로 목격하면서도 여전히 조심스러운 외교 용어를 고집할 수 있는 걸까? 마치 지정학의 언어로 포장하면 집단학살(genocide)이 덜 끔찍해지는 것처럼 말이다.

나는 라말라* 출신이다. 검문소가 동네를 흉터처럼 갈라놓는 걸 봤고, 이스라엘 점령군은 우리가 진정으로 자유로울 수 없음을 매순간 일깨웠다. 점령의 풍경이 내 삶을 가득 채웠다. 팔레스타인 민간인을 겨눈 총구, 한밤중에 들이닥치는 급습, 일상이 돼버린 장례식. 그래도 나는 그곳의 상황을 증오한 만큼이나 뜨겁게 내 조국을 사랑했다. 우리 팔레스타인인들은 끝없는 상실 속에서도 정원을 가꾸고, 아이를 키우고, 웃음을 잃지 않았다.

*라말라(رام الله): 팔레스타인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임시 행정수도

검문소와 허가증 없는 삶을 찾아 여기까지 왔다. 한때는 나와 아무 상관 없을 만큼 먼 곳이라 생각했던 한국으로. 그러나 머지않아 알게 됐다. 내가 팔레스타인을 떠난다고 해서 팔레스타인이 내게서 멀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가자지구 집단학살이 2년째에 접어드는 지금, 슬픔과 각성이 공존하는 묘한 이중성을 떠올린다. 한 민족 전체가 파괴되는 것을 생중계로 지켜본 다음에야, 마침내 세상은 팔레스타인에 관심 갖기 시작했다. 국제사회의 위선도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인권 수호를 운운하는 지도자들은 아이들이 잔해 더미에 깔려 죽어가는 동안에도 침묵을 지키고 있다.

그러나 서울에서 팔레스타인 깃발이 휘날리는 걸 보게 될 줄은 상상도 못했다. 한국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채 이스라엘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 정치와 종교의 영향으로 맺어진 관계다. 수년간 한국에서 팔레스타인을 알리고, 강의실과 여러 공동체에서 팔레스타인의 존재를 드러내려 애썼지만, 대부분은 이 문제를 전혀 모르거나 서구의 시각으로만 이해하고 있었다. 우리를 영원한 피해자나 위협으로 보는 시각. 팔레스타인이 멀고 추상적으로만 느껴지는 이곳에서 진정한 연대가 가능할까, 희망을 잃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집단학살이 시작되자 상황이 달라졌다. 놀랍게도 한국 거리에서 팔레스타인을 위한 진지한 움직임이 이어졌다. 전 세계 곳곳에서 그랬듯 말이다. 한국 활동가와 학생들이 서울에서 시위를 조직하고, 세계 각지에서 온 팔레스타인인과 이주민과 나란히 걸었다. 명백한 집단학살을 중립적인 외교 용어로만 이야기하는 세상에 맞서 목소리 냈다. 광화문 인파 속에서 “팔레스타인 해방”을 외치며 나는 무언가가 근본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느꼈다. 이건 단지 보여주기식 행동이나 공허한 몸짓이 아니었다. 이들은 당장의 앞가림을 넘어, 자신과 직접 관련 없는 고통에 마음을 열고, 정의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없음을 아는 사람들이었다.

이제는 대부분 내 친구가 된 한국 활동가들과 대화하며, 이 연결이 얼마나 깊은 것인지를 이해하게 됐다. 그들은 팔레스타인과 한국의 역사에서 공통점을 봤다. 한국의 정체성을 지우려 했던 일제의 식민 지배, 외세에 의해 강요된 분단, 통일을 향한 절절한 갈망. 한국에 있는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이러한 공감은 큰 위로였다. 지리적으로는 멀어도, 우리의 역사는 서로에게 말을 걸고 있었다. 두 민족 모두 점령과 추방, 그리고 다시 온전해지고 싶은 바람 속에서 살아왔다.

한국과 팔레스타인은 피식민의 고통만 공유하는 게 아니다. 두 나라 모두 땅이 조각나고 정체성이 부정당했다. 지도가 다시 그려지고, 모국어가 탄압받고, 역사적 기억이 위협받았다. 두 국가 모두 우리의 미래를 결정하려 드는 외세의 그림자 아래 있다. 미군은 한국 현대사를 좌우했고, 지금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지배를 떠받친다. 이러한 연결점은 우리의 저항이 군국주의와 제국주의라는 전 지구적 체계 속에 묶여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한국에서 팔레스타인 문제를 설명하는 건 여전히 어렵다. 안타까움을 표하면서도, 사회나 직장에서 받을 불이익이 두려워 행동을 주저하는 사람들이 있다. ‘중립’을 고집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억압 앞에서 중립을 지키는 것 자체가 정치적 입장이라는 걸 모르기 때문이다. 이것이 대등한 관계에서 벌어지는 ‘분쟁’이 아니라 명백한 가해자와 피해자가 있는 식민 프로젝트라는 점, 이토록 비대칭적인 폭력 앞에서 중립을 지키는 건 또 다른 폭력이라는 점을 이해시키기란 쉽지 않다.

그런 어려움 속에서도 우리 팔레스타인인들은 진정한 연대를 발견했다. 한국인들이 평화와 통일을 외칠 때, 그것은 해방을 바라는 우리의 목소리와 닮아있었다. 우리가 고향으로 돌아갈 권리를 요구할 때, 그들도 같은 희망을 품고 있음을 봤다. 국경에 가로막히지 않은 조국에서 자유롭게 살고 싶다는 희망. 우리의 투쟁은 같은 진실을 말한다. 자유는 쪼갤 수 없다는 것, 모든 이가 자유롭지 않다면 그 누구도 자유롭지 않다는 것.

가자의 아이들을 위해 목청껏 외치고, 파괴된 마을의 이름을 배우고, 우리의 상실을 함께 슬퍼하고, 우리의 아픔에 함께 짊어질 가치가 있다고 여기는 한국인들 곁에 서있을 때가 가장 감격스런 순간이었다. 그들의 연민은 시혜가 아니라 인정이었다. 가자에서 벌어지는 일이 먼 나라 얘기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인간됨이 달린 일임을 그들은 이해하고 있었다.

글을 쓰는 지금, 휴전과 평화 협정이 성사될 수 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가자에 있는 우리 민족이 평화로운 나날을 맞이하길 진심으로 바란다. 하지만 최근 라말라에 있는 언니와 통화하며 기사에서 하는 말이 사실인지 묻자, 허탈한 이야기가 돌아왔다. 놀랍지는 않았지만. 우리가 더는 부모님 고향인 베이트 이크사(Beit Iksa)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이었다. 지금도 내 팔레스타인 신분증에 출신지로 적혀있는 그곳을 이스라엘 점령군이 장악했다. 이제 특별 허가를 받아야만 가족이 살았고 선조가 묻힌 땅을 밟을 수 있게 됐다.

이것이 지금 진행 중인 식민화의 본질이다. 한순간에 극적으로 일어나서 역사에 기록되고 애도되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식민화는 천천히, 꾸준히, 허가증과 검문소와 정착촌이 누적되는 가운데 벌어진다. 그러다 어느 날, 더는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음을 알게 되는 것이다. 2년간 전 세계가 목격한 것은 새로운 일이 아니라 한 세기 넘게 이어진 재앙의 연속에 불과하다. 단지 소수의 사람만이 현실을 마주했을 뿐이다.

이것이 내가 다음을 강조하는 이유다. 집단학살의 종식은 한 세기 가까이 이어진 점령, 식민지배,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과 같지 않다. 휴전은 절실하지만 첫 단계일 뿐이다. 우리에게는 근본적인 탈식민화가 필요하다. 팔레스타인을 위한 연대는 폭격이 멈출 때까지가 아니라 팔레스타인에서 검문소가 사라질 때까지, 식민 정착민들이 떠날 때까지, 팔레스타인인들이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 때까지, 팔레스타인이 요르단 강에서 지중해까지 진정으로, 완전히 자유로워질 때까지 계속돼야 한다.

한국인들에게 말하고 싶다. 당신들의 목소리는 당신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중요하다. 한국의 역사를 경험한 당신들에겐 우리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고유한 힘이 있다. 자유를 뺏기고, 국가가 분단되고, 고통이 타인에 의해 정치적 도구가 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당신들은 안다. 팔레스타인과 함께 설 때, 당신들은 먼발치에서 지켜보는 구경꾼이 아니라 억압의 양식을 알아보고 거부하는 사람으로서 말하는 것이다.

연대는 관대함이 아닌 책임감의 표현이다. 가자를 위해 목소리 내는 당신은 보편적 정의를 위해, 모든 생명이 똑같이 소중하다는 믿음을 위해 말하는 것이다. 공감만으로는 부족하다. 행동하고, 배우며, 이 폭력을 유지하는 체제에 맞서야 한다.

가자지구는 그리 멀지 않다. 무엇을 보고자 하는지, 무엇을 잊지 않으려 하는지, 모두에게 정의가 평등하게 적용돼야 한다고 믿는지 아니면 전혀 적용되지 말아야 한다고 믿는지, 우리가 매일 내리는 도덕적 선택 속에 가자가 살아있다. 팔레스타인과 함께 서는 건 삶 그 자체와 함께 서는 것이며, 점령하에서 살다 점령하에서 죽어야 하는 민족은 없다는 생각과 함께 서는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한국인과 팔레스타인인이 서로를 깊이 이해하는 가운데, 우리는 다른 미래를 엿볼 수 있을지 모른다. 연대가 비극에서 태어나는 게 아니라, 자유는 모두의 것이라는 확고한 믿음에서 태어나는 미래를.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