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연사 워크숍 ‘2025년 상반기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 활동 보고와 향후 과제’ 보고

PSP Workshop Report: “2025 First Half-Year Activity Review and Future Tasks for the Palestinian Solidarity Movement”

English

지난 7월 20일 ‘팔레스타인인들과 연대하는 사람들’(이하 팔연사)가 주최한 ‘2025년 상반기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 활동 보고와 향후 과제’ 워크숍이 열렸습니다.

이날 워크숍에는 재한 팔레스타인인들과 인천 이집트인 커뮤니티 성원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건강과대안, 기간제교사노조, 팔레스타인인들과 연대하는 교사들(이하 팔연교), 팔레스타인 연대 대학 동아리 ‘얄라연세’, 서울대 ‘수박’, 고려대 ‘쿠피예’, 노동자연대, 노동자연대학생그룹, 팔연사 인천, 대구, 부산 모임 조직자들이 함께했습니다. 또, 지난 2년 가까이 함께해 온 ‘팔봉이’(자원봉사자)들도 참가했습니다.

워크숍은 재한 팔레스타인인 나리만의 인사말로 시작했습니다. 그녀는 이렇게 감사의 마음과 바람을 전했습니다.

“팔레스타인인들에게는 의무지만 여러분에겐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인류애적 마음으로 상상할 수 없는 기여를 해 주셨습니다. 이번 워크샵을 통해 팔연사가 앞으로 어떤 점을 개선하고 더 잘 할 수 있을지, 상반기 아쉬운 점이 있었다면 어떤 아쉬움이었는지 허심탄회하게 토론하는 자리가 되길 바랍니다.”

곧이어 최영준 팔연사 소집간사가 간략히 상반기 팔연사 활동을 보고하고 하반기 과제를 제안했고, 참가자들의 열띤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올해 3월 이스라엘이 휴전안을 파기하면서 파상공세를 펴고 있으나, 한국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매우 높아졌고, 한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팔레스타인 문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이 공유됐습니다. 이런 정서는 여러 조사들과 거리와 대학 활동을 통해 확인되고 있습니다.

여러 참가자들이 주말 집회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매주 집회는 연대 운동의 구심점으로서 거리의 지지 정서를 흡수하고, “사기를 올리는 공간”이자 “여러 사람들을 만나는 통로” 구실을 해 왔음이 언급됐습니다. 또한 집회에서 교류하면서 참가자들이 서로 연결돼 자기 대학에서의 연대 운동 건설 혹은 참여로 이어진 사례도 공유됐습니다.

이에 대한 공감대 속에서, 하반기에는 매주 집회와 행진뿐 아니라 10월 12일 가자 학살 2년 전국 집중 집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또 최근 벌인 레드라인 시위, 구호품 반입 요구 퍼포먼스, 의도된 기근을 규탄하는 냄비 두드리기처럼 집회의 컨셉을 다양하게 기획하자는 제안이 있었습니다.

한편 BDS운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펼쳐 나가자는 제안은 참가자들 사이에 큰 호응이 있었습니다. 팔연사가 한국에서 BDS운동을 펼치고 확대시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습니다.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제출된 가운데, 효과적 BDS 운동 건설을 위해 BDS의 대상과 효과적 방식에 대한 논의가 향후 이어져야 한다는 점들도 강조됐습니다.

우선, 올해 8월 CIPA 2025 대응을 계기로 이스라엘과 교류를 강화해 온 정부와 기업, 대학을 상대로 BDS운동을 펼쳐나가기로 했습니다. 또 이를 위해 선전과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영상과 SNS를 활용해 널리 알리기로 했습니다.

기층으로 뻗어나가기: 운동의 다각화와 소통 강화

참가자들은 팔연사가 향후 지역과 대학, 노동조합 등 삶의 현장에서 연대 운동을 펼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획과 행동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여러 아이디어를 제안했습니다.

단박에 집회 참여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학생들, 시민들 사이에서 관심을 촉구하고 소박한 지지의 마음을 표할 수 있는 통로와 수단을 다양화하자는 제안도 있었습니다. 전시회나 문화 행사, 정기 후원, 후원 굿즈를 다양화하기 등등. 또한 강연회와 도서를 통해 팔레스타인의 역사 등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온라인 컨텐츠로도 다루자는 다채로운 기획과 제안들이 제시됐습니다.

그동안 팔연사는 가자 현지의 목소리를 한국에 전하기 위해서 꾸준히 노력해 왔습니다. 앞으로는 팔레스타인 현지의 학교, 예술 단체, 의료진, 출판사 등 여러 방면의 교류를 확대할 수 있도록 시도해 보기로 했습니다. 팔연사 내 단체들이 각자 가진 특성을 발휘해 팔레스타인인들과의 교류 확대에 나서보기로 결의를 다졌습니다.

돌아보면, 팔연사와 연명 단체, 참가자들이 기층에서 팔레스타인의 대의를 알리고 운동 동참을 확대시키려는 여러 활동을 해 왔음에도 이것이 더 널리 알려지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각자의 활동들을 좀 더 자세하고도 풍부하게 공유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점들은 소통과 홍보 강화로 연결해 하반기에 내실을 다져보기로 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여러 좋은 아이디어가 많아 상상력이 발흥하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나리만이 손수 준비한 팔레스타인의 전통 음식들을 함께 나눠먹으면서 교류하는 시간으로 워크숍을 마무리했습니다.

이날 참가자들은 팔연사가 운동 참가자, 단체들과 함께 기획하고 운영하는 방향으로, 외연을 넓히고 더 많은 지지자들을 모아내기 위해 노력하자고 마음을 모았습니다. 이번 워크숍을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을 더 굳건히 하고 확대시키는 발판으로 삼아, 팔연사는 앞으로의 활동을 이어나갈 것입니다.


PSP Workshop Report

“2025 First Half-Year Activity Review and Future Tasks for the Palestinian Solidarity Movement”

On July 20, the group People in Solidarity with Palestinians (PSP) held a workshop titled “2025 First Half-Year Palestinian Solidarity Movement Report and Future Tasks.”

The event brought together Palestinians residing in Korea, members of the Egyptian community in Incheon, the Association of Physicians for Humanism, Health and Alternatives, the Union of Contract Teachers, Teachers in Solidarity with Palestinians (PalTeachers), the Yonsei University student club for Palestinian solidarity “Yalla Yonsei,” Seoul National University’s “Soobak,” Korea University’s “KUFIYE,” Workers’ Solidarity, its student groups, and PSP organizers from Incheon, Daegu, and Busan. Long-time volunteers known as “Palbongi” also participated.

The workshop began with a welcome address from Nareman, a Palestinian living in Korea. She shared her heartfelt gratitude and hopes:

“For Palestinians, this is a duty, but for you, it may not be. Even so, you’ve contributed immensely out of human compassion. I hope this workshop will be a space for open discussion on how PSP can improve and do better in the future, and to honestly reflect on any shortcomings from the first half of the year.”

Following this, Choi Young-jun, the general coordinator of PSP, gave a brief report on the group’s activities during the first half of 2025 and outlined plans for the second half. This sparked an active and passionate discussion among participants.

It was noted that despite Israel’s renewed assaults since breaking the ceasefire in March, negative perceptions of Israel in South Korea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Korean university students are showing growing interest in the Palestinian issue. This shift in sentiment has been confirmed through surveys and direct interactions during street actions and campus events.

Many participants stressed the importance of regular weekend rallies. These weekly gatherings have served as focal points for the movement, providing a space to build morale, engage with the public, and foster connections. Participants shared that the interactions at rallies often led to solidarity activities at their respective universities.

In this spirit, PSP decided to continue holding weekly rallies and marches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and also to organize a national day of action on October 12, marking two years since the Gaza massacre. There were also suggestions to diversify the rally formats—such as recent creative actions including the Red Line protest, humanitarian aid performance demonstrations, and pot-banging protests denouncing deliberate starvation.

Stronger Push for BDS Campaign

A widely supported proposal was to step up the Boycott, Divestment, Sanctions (BDS) movement in Korea. Participants emphasized PSP’s role in initiating and expanding BDS efforts, stressing the need to clearly define campaign targets and effective strategies.

One immediate plan is to launch a BDS campaign in response to CIPA 2025 in August, targeting Korean institutions—governments, corporations, and universities—that have strengthened ties with Israel. Plans include boosting education and publicity, especially through videos and social media.

Reaching the Grassroots: Diversifying Tactics and Strengthening Communication

Participants emphasized the need to develop various initiatives to bring the solidarity movement into local communities, universities, and labor unions. Even if such efforts don’t immediately lead to protest participation, they can raise awareness and foster everyday expressions of support among students and citizens.

Suggestions included organizing exhibitions, cultural events, regular donations, and merchandise fundraising. Ideas were also presented to make Palestinian history and issues more accessible through lectures, books, and online content.

PSP has consistently worked to bring voices from Gaza to Korean audiences. Going forward, the organization aims to deepen exchanges with Palestinian schools, art groups, medical professionals, and publishers. Member groups within PSP pledged to leverage their unique strengths to build these connections.

Despite the many grassroots efforts by PSP and its allies to raise awareness and expand support for the Palestinian cause, the group acknowledged that these efforts haven’t always reached broader audiences. The workshop provided a valuable space to share these activities in more depth and detail. There was a consensus to strengthen outreach and communic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One participant described the event as “a time full of imaginative and inspiring ideas.”

The workshop ended with participants sharing traditional Palestinian dishes prepared by Nareman. As they wrapped up, everyone expressed a shared commitment to continue organizing in a more collaborative way—planning and executing campaigns together with participating groups and individuals—to broaden the movement and rally more support.

PSP will use this workshop as a springboard to further strengthen and expand the Palestinian solidarity movement going forward.

공유

목록 가기 👉